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다양한 이점 덕분에 금속이나 세라믹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, 특히 기술적으로 복잡한 부품의 경우에는 그 특성에 맞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.
엔싱거에서는 폴리스티렌, PVC, 폴리에틸렌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우수한 기계적, 열적 특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열가소성 폴리머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포장용으로 쓰이는 PE, PP, PVC에 비해서 뛰어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쓰이지만,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비교했을 경우에는 성능이 다르며 상대적으로 가격 또한 저렴합니다.
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서로 혼합하거나 개질되는 경우에는 용도에 맞춰 소재 특성의 최적화가 가능하며 그 가공 과정에서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됩니다.
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100°C부터 150°C까지 온도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.
우수한 기계적 특성
탁월한 가공성 및 치수안정성
우수한 내화학성
우수한 내마모성
(출처 : https://www.ensingerplastics.com/ko-kr/shapes/engineering-plastics)
수지 재료 : 플라스틱 제품을 가공하기위한 원료로 사용할 수있는 모든 고분자 화합물을 수지라고하며 천연 수지와 합성수지로 분류됩니다
PTFE
: PolyeTraFluoroEthylene)
불소와 탄소로 이루어짐
Teflon(듀폰 메이커명)으로 유명하다.
PEEK
: PolyEtherEtherKetone
고온에서 성형을 잃지 않고 유지 됨
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 SiSiC 재질의 Paddle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을 찾아 보던 중 검토한 내용임
관련 참고 문헌
'Mechanical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바(Invar) 시세 (0) | 2025.04.28 |
---|---|
국소배기 환기량 계산 (0) | 2025.04.25 |
Heater 관련 블로그 및 사이트 글 링크 취합 (2) | 2025.01.06 |
유용한 Autocad 단축키 설명 (0) | 2025.01.03 |
압력 - PSIG? PSIA? (0) | 2023.0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