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산업안전보건법>
1.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1개의 법률, 3개의 대통령, 3개의 고용노동부령, 세부적인 기준 및 절차로 이루어져 있다.
- 효력순위는 법>시행령>시행규칙>고시 순이다.
- 상위법령에 위배되는 하위규정은 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.
-> 근로기준법과 전혀 관련성이 없다.
2. 사업주의 의무가 아닌 것은?
- 산업재해 예방 시책 등 준수
- 안전보건관리 체제의 구축
-> 방호조치 상실 시 신고
-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산업재해 예방
3. 산업안전보건법 벌칙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-> 법령의 법적 의무이행 답보수단으로 법령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항이다.
- 형벌과 수강명령은 어떤 경우라도 함께 명령할 수 없다.
- 의무이행주체를 처벌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과태료는 근로자에게 부과한다.
- 과태료는 검사의 기소와 재판을 통해 결정 된다.
1. 근로자의 의무로 옳지 않은 것은?
-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해야 한다
-> 회사의 안전 보건 계획 수립 후 이사회에 보고 및 승인을 받는다
- 건강진단을 이행해야 한다
- 보호구 착용을 의무화해야 한다
2.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요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> 산업재해 예장을 하지 않기 위한 내용
- 산업안전보건 정책 수립 등 정부의 책무를 명시하는 내용
- 인체에 해로운 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 및 근로자의 건강진단 실시하는 애용
- 안전보건관계자 및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는 내용
3.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조사 및 평가 진행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
- 노조회의
-> 안전보건진단
- 발주회의
- 이사회
<동절기 질병예방 및 안전>
1. 체감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열을 빼앗길 때 느기는 추운 정도를 나타낸 지수
- 옥외 작업자가 실제로 느끼는 온도
-> 기온과 강우량의 조합에 따라 산출되는 지수
- 단순 기온은 아님
2. 발을 차가운 물속에 오래 담그고 있거나
습하고 낮은 온도에 장기간노출로 발생하는 손상으로 조직이 동결된 상태는 아닌 질환은?
- 동상
-> 참호족
- 저체온증
- 동창
3. 한랭 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자의 적절한 복장 착용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?
- 기온과 풍속에 따라 적절한 옷 착용
- 체온 유지를 위해 3겹 이상의 옷 착용
- 젖은 작업복은 즉시 갈아 입기
-> 꽉 끼는 의복 착용
1. 동상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아닌 것은?
- 저온과 강한 바람
- 국소 혈액순환 장애
-> 건조한 환경
- 젖은 장갑이나 양말
2. 저체온증의 발생 원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?
-> 영상 30도씨 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.
- 한파 등 저온에 노출되어 열을 잃어버리는 속도가 열을 만드는 속도 보다 빠르면 일어난다.
- 추운 곳에서 자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.
- 비를 맞거나 땀을 흘리고 차가운 물속에 잠기는 상황일 때 더 발생한다.
3. 체감온도 지수의 범위별 단계 중 주의 단계에 해당하는 온도는?
-> 영하 10.5 이상 영하 3.2 미만
- 영하 3.5 이상
- 영상 3.5이상 영상 10.5 이하
- 영하 30.2미만
'안전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2분기 근로자정기교육 (1, 2회) (1) | 2025.05.07 |
---|---|
중건설공사란? (0) | 2025.04.29 |
2025년 2분기 근로자정기교육 (1회, 2회) (4) | 2025.04.26 |
2025년 1분기 근로자정기교육 (5회, 6회) (2) | 2025.03.15 |
2025년 1분기 근로자정기교육 (3회, 4회) (1) | 2025.02.05 |